환경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라즈베리파이 - 계정 생성, 권한 설정, 외부 연결 정보 공유보단 개인학습 & 내용 정리 목적으로 블로깅한거라 의식의 흐름대로 썼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다 ^^;; (+같은 삽질을 하는 사람이 더 없길 바라며) 일단 서버란 하나의 제공자(컴퓨터)이다. 그리고 작업의 목적은 라즈베리 파이를 서버로 두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. 일단 매번 라즈베리 파이에 모니터, 키보드, 마우스를 연결할 수는 없으니 ssh를 이용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서버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. (putty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했다. 구글링하면 사용법이 잘 나온다.) ssh : 원격 호스트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정의된 인터넷 프로토콜 이 과정에서 한 첫번째 삽질.. 자꾸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.. ip가 틀렸다는 간단한 이유였는데.. 라즈베리파이 - DB 설치 및 접속 라즈베리파이에서 DB 설치하는법 (mariadb) 1. 패키지 설치 전 기존의 패키지를 업데이트 해주어야 한다. $sudo apt-get update $sudo apt-get upgrade 2. mariabd를 설치한다 $sudo apt-get install mariadb-server 3. mariadb 버전을 확인해봄으로써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체크한다 $mysql -V 4. mysql -u root -p로 로그인을 해준다. 패키지 업데이트가 아주 느린속도로 진행되긴했지만, 나름대로 잘 따라갔다고 생각했는데 $mysql -u root -p/ $sudo mysql -u root -p 둘 다 아래의 에러메시지가 뜨면서 접속이 되지 않았다. ERROR 1045 (28000): Access denied for .. 이전 1 다음